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드디어 우리나라도 딥시크 금지령, 금지 대상은?

by AI 한 스푼 2025. 2. 6.

최근 미국, 대만, 일본에서 딥시크 사용 금지령이 내려진 데 이어, 마침내 우리나라에서도 딥시크 금지령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 딥시크 금지령이 적용되는 대상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부 부처와 공기업의 딥시크 금지령  

우리나라 딥시크 금지령

 

먼저 정부 부처에서 딥시크에 대한 접속 차단에 나섰습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부서인 국방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딥시크가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많아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서는 차단 조치를 했다"고 밝혔죠. 특히 이들 부처는 외교, 안보, 통상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밀을 다루는 곳들이라 보안 우려가 클 수밖에 없겠죠? 

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공문을 보내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무조건 신뢰하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또한 공기업들도 잇따라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는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전KPS이 대표적입니다. 한전KPS 관계자는 “원전 사업장은 국가 1급 보안시설이다보니 주요 정보들이 중국에 서버를 둔 AI로 수집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주의하고자 하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공기업의 딥시크 금지령

2. 금융권과 민간기업의 딥시크 금지

 

금융권도 보안에 특히 민감한 업종이라 딥시크 사용을 강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뿐만 아니라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이 외부망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다행히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원래 외부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애초부터 딥시크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였죠.

카카오는 오픈AI와의 협업을 발표하면서 "딥시크의 사내 업무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고, LG유플러스도 사내망에서는 물론, 직원 개인 PC에서도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어요.

 

삼성전자, SK, LG전자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들도 원래부터 생성형 AI를 자체 개발해 활용하는 만큼 외부 AI 프로그램을 쉽게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민간기업의 딥시크 금지령

3. 개인은 여전히 딥시크 사용 가능? 

딥시크가 개인 사용자에게까지 금지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앱이나 웹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의 개인정보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는만큼 사용시 개인 정보를 입력하거나 업로드 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딥시크를 이용하고 싶지만 개인정보 유출이 걱정이 된다면, 뤼튼에서 제공하는 '안심서비스'를 통해 딥시크를 이용하시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뤼튼의 '안심서비스'로 딥시크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 이전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 )

 

개인정보 걱정없이 쓰는 딥시크, 뤼튼의 '안심서비스' 사용 후기

1. 뤼튼의 딥시크 '안심서비스'란?2. 뤼튼의 딥시크 '안심서비스' 사용 방법3. 뤼튼의 딥시크 '안심서비스' 사용후기(장점과 단점)이전 글에서 딥시크의 개인정보 정책을 분석하여 문제가 되는

happy-aj.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