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공지능 시장에서 가장 핫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인정보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저렴한 비용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며 주식시장마저 뒤흔들어 놓고있는 딥시크는 개인정보 문제에 대한 의혹에 확실히 답변하지 않고 있어 결국 각국 정부의 제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본에서 '딥시크' 금지령이 나타나게 된 이유와 미국, 대만의 '딥시크' 금지령의 범위 그리고 우리나라의 딥시크 사용 규제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대만에 이어 일본도 딥시크 금지령
미국과 대만에 이어 일본까지 딥시크 AI 사용에 대한 경고를 내렸다고 합니다. 일본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이 최근 강연에서 딥시크 AI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는데요. 공무원들이 딥시크를 사용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내각 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에서도 각 부처에 주의를 내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일본의 딥시크 금지령은 다른 점이 있는데요. 일본의 경우 단순한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넘어서, 딥시크 AI의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논란이 작용했다는 점입니다. 일본 중의원의 한 주요 간부는 딥시크 AI가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는 센카쿠 열도를 "중국 땅"이라고 답변한 사례를 문제 삼았고, 이에 따라 딥시크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영토분쟁이 있어서, 딥시크가 공개되었을 때 많은 사용자들이 독도는 누구 땅이냐고 물어보고 인증 글을 올려서 화제가 되었는데요. 한국어로 물어보면 대한민국 고유의 영토라고 대답하는데 영어나 일본어로 물어보면 중립적 반응을 보이고 있죠. 일본의 입장에서는 한국어로 물어봤을 때의 답변을 보면 화가 날 것 같긴 하지만 독도는 우리 땅인걸요? ㅎㅎㅎ
2. 미국과 대만의 딥시크 금지령 내용
일본이 딥시크 금지령을 내리기 전 미국과 대만이 먼저 금지령을 내렸는데요. 미국 하원은 내부 공지를 통해 의원들과 직원들에게 딥시크 사용 금지를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며, 미국 국방부 역시 "보안상 문제 및 윤리적 우려"를 이유로 같은 결정을 내렸습니다. 미국 정부는 딥시크가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해 외부로 전송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정부 역시 공공기관 근로자들 즉,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대만 디지털부는 "딥시크 AI가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며, 국가 보안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강력한 차단 조치를 내렸습니다. 대만의 딥시크 금지령은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국유기업, 공립학교에서도 딥시크 사용이 전면 금지되어 굉장히 넓은 범위에 적용하고 있으며,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경고까지 하고 나섰습니다.
3. 우리나라의 딥시크 사용 규제 가능성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딥시크 AI에 대한 공식적인 사용 금지 조치가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른 여러 국가들이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관련 동향을 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딥시크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딥시크가 사용자의 장비 정보, 키보드 입력 패턴, IP 주소, 장치 ID, 쿠키 등 지나치게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하며, 이러한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된다는 점을 지적해서 주목을 받았었죠.
여러 국가에서 사용 금지령을 내리기도 하고 전문가들의 우려도 많은 상황이니, 딥시크 AI를 이용하실 때는 이러한 개인정보 수집 및 보안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